공지사항
제목 | (산불 국민행동요령)산불이 발생하면 이렇게 준비하세요. | 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작성자 | 관리자 | 등록일 | 2025-03-26 | 조회수 | 3613 | ||
산불 국민행동요령을 철저히 지켜주시길 당부드립니다. 장기화되고 있는 대형산불을 최대한 신속하게 진화하고,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중심으로 범정부 차원에서 총력 대응하고 있습니다. 강풍과 건조한 기상으로 인해 작은 불씨도 대형 산불로 커질 수 있어 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 - 산림청, 행정안전부 - <이미지 대체텍스트> 산불 행동요령1 산불이 발생하면 이렇게 준비합니다. (집안에서) - 지역 대피 안내에 귀를 기울이고 이웃과 수시로 연락합니다. - 대피할 장소를 확인하고 비상용품과 가방을 준비합니다. - 모든 창문과 문을 닫고 가스를 차단합니다. (산행 또는 야영(캠핑) 중에) - 안내방송, 휴대전화 등을 통해 상황을 확인하고 주변에 알립니다. - 산행 또는 야영(캠핑)을 멈추고 불이 확산하는 경로를 피해 산과 먼 곳으로 이동합니다. 산불행동요령2 (집 밖에서) - 집 주위에 있는 가연성 물질을 멀리 옮겨 둡니다. - 떨어진 불씨로 불이 붙는 것에 대비하여 집 주위에 충분한 물을 뿌려둡니다.
산불행동요령3 (집(산지 인접 주택, 건물)) - 지역의 대피 안내가 있는 경우 즉시 안내된 장소로 이동합니다. - 대피하지 못한 주민이 있을 수 있으므로 옆집에 상황을 알립니다. - 이동 시 산불의 진행경로를 피해 산과 떨어진 도로를 이용합니다. - 안내를 받지 못한 경우에도 연기 냄새가 나거나 두려움을 느낀다면 안전한 장소로 즉시 대피합니다. (산행 또는 야영(캠핑) 중에) - 산행 중에는 계곡 부를 피하여 활엽수가 있는 구간으로 신속히 하산합니다. - 야영 중에는 산과 떨어진 도로를 이용하여 산불 확산 구역에서 신속히 벗어나도록 합니다. - 대피하지 못한 경우 바람을 등지고 주변의 낙엽을 제거한 후 엎드려 낮은 자세를 유지합니다. 산불행동요령 4 (노약자와 몸이 불편하신 분은 이렇게 대피합니다.) - 이웃 또는 거주지 시.군.구청 및 행정복지센터 등에 도움을 요청합니다. - 거동이 불편한 경우 조금이라도 안전한 장소에서 도움을 기다립니다.
산불행동요령 5 (어린이와 함께 있을 때는 이렇게 대피합니다.) - 아기는 띠를 이용해 안고 손으로 아기와 자신의 신체를 보호합니다. - 어린이는 손을 잡고 대피하며, 필요한 행동을 말해주어 함께 대처할 수 있도록 합니다. 산불행동요령 6 (상황을 알리고 부상자는 구조를 요청합니다.) - 대피 후 부상이 없는지 확인하고 가족 또는 지인에게 상황을 알립니다. - 부상 시 주변의 도움을 받아 응급 처치하고 구조.구급기관에 신고합니다. (피해 상황에 따라 귀가 여부를 결정합니다.) -거주지 시.군.구청 및 행정복지센터 등의 안내에 따라 행동합니다. - 집에 피해 상황과 이동 경로 내 안전을 확인한 후 귀가하빈다. - 귀가 후 상수도, 전기 및 가스시설 등 피해가 없는지 확인한 후 사용합니다. - 집 주변 산에 불씨 또는 연기가 감지되면 즉시 신고합니다. 산불행동요령7 스마트 산림재난앱 산불신고 1. 구글 플레이 또는 어플 스토어에서 스마트산림재난 앱을 검색하거나 QR코드를 통해 다운로드합니다. 2. 앱 하단 산림재난 신고하기를 클릭합니다. 3. 위치, 촬영신고 또는 전화신고를 통해 산불을 신고합니다. 4. 지도에서 신고위츠를 선택합니다. 5. 산불 현장 사진 또는 동영상을 첨부합니다. 6. 피해면적, 피해규모, 성명, 소속, 연락처를 기재 후 신고하기(신고하기 버튼)를 선택합니다. (*생략가능) 신속한 신고가 큰 산불을 막아줍니다. 산림청 산불상황실 042-481-4119, 소방서 119, 경찰서 112 - 산림청, 행정안전부 - |
|||||||
첨부파일 ![]() |
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. |